채권이란 채권을 발행하는 정부, 공공기관 또는 기업들에 돈을 빌려주고 일정 기간이 지난 뒤(만기)에 받을 수 있는 이익(원금과 이자)을 기록한 증서입니다.채권을 매수하게 되면 돈을 빌려주고 증서를 받는 것입니다.
채권을 매도하게 되면 일정 기간(만기) 뒤에 받을 수 있는 이익(원금과 이자)에 대한 차용증서를 파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A가 100만 원을 빌려 3년(만기) 후 원금을 돌려주고, 이자는 매년 5%씩 주겠다고 합니다.
여기서 100만 원은 만기상환금액(=액면가)이고 상환일(만기)은 3년, 5%의 이자는 표면금리입니다.
여기서 주의하셔야 할 점은 표면금리와 시중금리의 오해에서 생겨납니다.
표면금리란 증서에 적힌 금리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액면가 또한 고정되어 있습니다.
시중금리란 해당 채권을 사서 만기까지 보유했을 때 가질 수 있는 투자수익률을 말합니다.
여기서 생길 수 있는 혼동은 언론과 금융에서는 액면가와 금리가 바뀐다고 말하는데, 언론과 금융에서 말하는 액면가와 금리는 액면가와 표면금리가 아닌 채권의 거래가격과 투자수익률(=시중금리)을 말합니다.
즉, 채권은 돈을 빌려주고 받는 증서이며 채권을 매수매도를 하며 시장을 형성하게 됩니다. 채권은 상환일, 액면가, 표면금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3가지는 고정되어있습니다. 채권에서 변동되는 부분은 채권의 거래가격과 투자수익률(=시중금리)입니다.
의문은 주식 같은 경우 가격이 오르면 투자수익률이 증가하는데, 어째서 채권은 금리가 오르면 채권 거래가격이 내려가는 가입니다.
내가 매입했던 가격과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 간의 증가율 또는 감소율에 계산되는 주식과는 다르게, 채권은 만기 때까지 보유했을 때 가질 수 있는 이익이 이미 정해져 있으므로 채권 수익률은 가격의 증가율이나 감소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채권에 투자했을 때 받을 수 있는 금리를 말합니다. 즉, 시장에서 채권을 싸게 사면 살수록 수익률이 오르고 비싸게 사면 비싸게 살수록 수익률이 떨어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A가 100만 원을 모으기 위해 100만원짜리 채권을 발행하여 1년 후 이자 5만 원과 함께 105만 원에 돌려준다고 하면, 이 채권의 액면가는 100만 원, 상환일(만기)은 1년, 표면금리는 5%가 됩니다.
그런데 채권 가격이 시장에서 95만 원으로 떨어진다고 가정을 하면, 이 채권을 95만원에 살 수 있게 되고, 만기가 되면 105만 원을 받게 되므로 투자 수익률은 약 10%가 됩니다.
만약 채권 가격이 105만 원이 된다면 1년 뒤에 돌려받는 금액 105만 원과 같기에 투자 수익률은 0%가 됩니다.
여기서 채권가격이 변화하는 이유를 설명하겠습니다. 다른 상품들과 마찬가지로 채권 또한 수요와 공급의 원리로 채권가격이 결정됩니다.
수요가 공급에 비해 많으면 가격이 오르고, 수요가 공급에 비해 적다면 가격이 내려 가게 됩니다. 채권을 발행하는 정부 또는 공공기관, 기업 등 공급물량은 특별한 경우가 아닌 한 큰 변동이 없습니다. 고로, 채권 가격의 변동은 수요에 의해 결정이 나게 됩니다.
수요에 영향을 끼치는 조건은 많지만 가장 중요한 조건은 기준금리라고 봅니다. 중앙은행에서 결정하여 오르고 내리는 기준금리에 따라 민간금융기관이 결정하는 시중금리 또한 같이 오르고 내리게 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시중금리가 3%에 액면가와 매매가가 100만 원이고 1년 뒤 5%의 이자와 함께 105만 원을 돌려받게 되는 경우를 가정해보겠습니다.
민간 금융기관에서 결정한 시중금리는 3%이기에 같은 100만 원을 은행에 맡길 시 연 투자 수익률은 103만 원이므로 은행에 돈을 맡기는 것보다는 채권에 투자하는 것이 수익률이 높게 되므로 수요가 증가합니다.
반대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3%였던 시중금리가 10%로 올랐다고 가정하면, 은행에 같은 100만 원을 맡길 시 1년 뒤 110만원을 돌려받게 됩니다. 1년 뒤에 105만 원을 돌려받기로 정해져있는 채권을 100만 원에 사려는 수요는 적어지게 됩니다. 또한, 새로 발행되는 채권은 높아진 시중금리를 반영해 더 높은 이자를 주겠다 할 것이기에 수요는 떨어지게 됩니다. 고로 수요가 떨어지기에 채권의 가격은 내려가게 됩니다.
즉, 시중금리가 떨어지게 되면 낮은 금리보다 높은 투자 수익률을 가진 채권에 대한 수요가 생겨 채권 가격이 오르게 되고, 시중금리가 높아지게 되면 채권의 투자수익률보다 시중금리의 투자수익률이 높아지므로 채권에 대한 수요가 떨어지게 되어 채권의 가격은 내려가게 됩니다.
본문 출처 : https://kr.investing.com/analysis/article-200196162
'금융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 CPI 발표일 일정 (1) | 2023.01.04 |
---|---|
2023년 1월 미국 연준 FOMC 회의 일정 / 1월 CPI 발표일 및 발표 시간 한국시간 기준 (0) | 2023.01.04 |
2023년 올해 미국 연준 FED의 FOMC 회의 일정 (0) | 2022.12.22 |
[금융공부] 대출에서 만기일시상환 vs 원리금 균등 상환 차이 (0) | 2022.12.08 |
2023년 한국 금통위(금융통화위원회) 일정 feat.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 / 금리 결정 (0) | 2022.12.04 |
최근댓글